Enrich Times - 부자가 되는 시간
Home뉴스SK하이닉스 놓쳤다면? 증권가가 주목하는 SK스퀘어 투자 전략

SK하이닉스 놓쳤다면? 증권가가 주목하는 SK스퀘어 투자 전략

Published on

요즘 SK하이닉스 주가가 정말 무서울 정도로 오르고 있다. 지난 한 달 사이에만 60%나 급등했으니, 이미 투자한 사람들은 웃음이 멈추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뒤늦게 뉴스를 접한 투자자들은 “아, 내가 왜 그때 안 샀을까” 하며 속을 태우고 있을 터다.

그런데 증권가에서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SK하이닉스를 못 샀다면 SK스퀘어를 주목해보라는 것이다. 왜 갑자기 SK스퀘어가 대안으로 떠오른 걸까?

SK스퀘어가 뭐하는 회사인데?

SK스퀘어는 2021년에 만들어진 투자전문회사다. 쉽게 말하면 SK그룹의 중간 지주회사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이 회사가 갖고 있는 자산을 보면 SK하이닉스 지분 20.1%가 가장 크고, 그 외에 11번가, 티맵모빌리티 같은 회사들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 SK스퀘어의 순자산가치, 즉 NAV를 계산해보면 전체의 90%가 SK하이닉스라는 것이다. 2024년 2분기 기준으로 SK스퀘어의 전체 자산가치가 54조원인데, 이중에서 SK하이닉스 지분 가치가 48조 3,600억원이다. 나머지 자산들은 대부분 비상장사라서 규모가 크지 않다.

결국 SK스퀘어에 투자한다는 건 거의 SK하이닉스에 투자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는 얘기다.

SK하이닉스가 잘되면 SK스퀘어도 잘된다

SK스퀘어의 실적은 SK하이닉스의 성적표를 그대로 따라간다. SK하이닉스가 번 돈의 일부를 지분법 손익으로 SK스퀘어 실적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거에 SK하이닉스가 힘들었을 때는 SK스퀘어 주가도 같이 무기력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제 본격적인 ‘반도체 수퍼사이클’에 진입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AI 붐과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발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장기 호황을 맞이할 거란 전망이다. SK하이닉스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이제는 오히려 강점이 된 셈이다.

그리고 여기에 하나 더 있다. SK하이닉스가 배당을 늘리면 SK스퀘어가 받는 배당금도 늘어난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에 SK하이닉스가 분기 배당금을 주당 300원에서 1,304원으로 확 올렸더니, SK스퀘어가 한 분기에 받는 배당금이 483억원에서 1,905억원으로 4배 가까이 뛰었다.

BNK투자증권 김장원 연구원은 올해도 SK하이닉스의 기말 배당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그만큼 SK스퀘어의 실적도 계속 좋아질 거란 의미다.

그런데 왜 지금이 기회라는 걸까?

여기서 흥미로운 부분이 나온다. SK하이닉스 주가가 최근 한 달 동안 급등했는데, SK스퀘어는 그만큼 따라오지 못했다는 것이다. 대신증권 김회재 연구원의 분석을 보면 이게 더 명확해진다.

김 연구원은 SK스퀘어가 지금 아무런 새로운 투자를 하지 않고 그냥 보유한 회사들만 관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당연히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SK하이닉스의 주가 움직임과 비슷하게 움직여야 하는데, 최근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10월 1일부터 이런 괴리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SK하이닉스 주가가 워낙 빠르게 오르다 보니 양사 간의 가치평가에 갭이 생긴 것이다. 김 연구원은 SK스퀘어의 역사적 할인율을 고려해도 이 괴리가 해소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쉽게 말하면 SK하이닉스 가치가 내려오거나, SK스퀘어 주가가 올라가면서 균형을 맞출 거란 얘기다.

그런데 증권가는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수퍼사이클에 본격 진입하면서 올해 안에 실적이 계속 좋아질 거라고 보고 있다. 그렇다면 결국 SK스퀘어가 따라 올라갈 가능성이 더 크다는 논리다.

주주환원도 기대해볼 만하다

SK스퀘어의 또 다른 매력은 주주환원 정책이다. 이 회사는 지주회사 성격을 띠고 있어서 정부의 주주환원 확대 정책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김장원 연구원은 SK스퀘어가 SK쉴더스 지분을 매각한 돈도 있고, SK하이닉스에서 받는 배당금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자사주 매입 같은 추가 주주환원 정책을 펼칠 여력이 충분하다고 봤다. 심지어 회사 역사상 처음으로 현금 배당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다.

대체 수요가 몰린다?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이 이제 300조원 안팎을 오가고 있다. 한국 증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넘어선 건 사상 처음이다.

김회재 연구원은 이 부분을 주목했다. 시총 비중이 너무 커지다 보니 기관투자자들 입장에서는 SK하이닉스를 포트폴리오에 담기가 부담스러워진다는 것이다. 한 종목에 돈을 너무 많이 몰아넣는 게 리스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도체 수퍼사이클의 수혜를 받고 싶지만 SK하이닉스를 직접 사기엔 부담스러운 투자자들이 SK스퀘어로 눈을 돌릴 거란 전망이 나온다. 일종의 대체 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럼 무조건 좋은 건가?

물론 주의할 점도 있다. SK스퀘어의 자산 중 90%가 SK하이닉스다 보니 반도체 시황에 엄청나게 민감하다. 만약 반도체 수퍼사이클이 예상과 다르게 흘러가거나 SK하이닉스 실적에 문제가 생기면 SK스퀘어도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또 지주회사는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할인을 받아 거래되는 경향이 있다. 보유한 자산의 가치만큼 주가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 할인율이 얼마나 줄어들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1번가나 티맵모빌리티 같은 다른 계열사들의 실적 변동도 변수가 될 수 있다. 비중이 크지 않다고는 하지만 완전히 무시할 순 없는 부분이다.

결국 어떻게 봐야 할까?

증권가의 시각을 종합해보면 이렇다. SK하이닉스를 놓친 게 아쉽다면, 그리고 반도체 수퍼사이클에 올라타고 싶다면 SK스퀘어가 괜찮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 효과를 간접적으로 누릴 수 있고, 배당금 증가 혜택도 받으며, 현재 기술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어서 상승 여력도 있다. 게다가 주주환원 정책 강화 가능성까지 있으니 여러 모로 매력적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이다. 반도체 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SK하이닉스의 실적이 정말 계속 좋아질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되, 자신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감내 수준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

SK하이닉스를 직접 사기엔 주가가 너무 올라버렸다고 느낀다면, SK스퀘어를 한번쯤 들여다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어쨌든 반도체 수퍼사이클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기회를 찾고 싶은 투자자들에게는 고민해볼 만한 선택지가 하나 더 생긴 셈이니까.

👉 외국 투자회사 ‘집중 매수’, 왜 이 종목을 샀는가?

👉 삼성전자 주가 12만원 시대가 온다? 키움증권의 깜짝 전망

최신 글

글로벌 ‘큰손’들이 은밀하게 쓸어 담는 한국 주식! 비밀 투자 전략은 무엇인가?

"대체 무슨 종목을 사야 할까?" 주식 투자자라면 누구나 하는 고민입니다. 그러나 그 고민의 해답을 찾기...

은행주 지금 사야 할까? 증권가가 말하는 매수 타이밍

요즘 은행주가 재미없다. 10월 들어서 코스피는 4%나 올랐는데, 은행주를 모아놓은 KRX 금융지수는 오히려 0.64%...

워런 버핏, 일본 종합상사 지분 44조원 돌파…5년 만에 392% 수익

투자의 전설 워런 버핏이 일본에 본격적으로 베팅을 늘리고 있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보유한 일본 5대...

JP모건이 주목한 한국 증시: “밸류업 정책만 지속되면 더 오른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자산운용이 한국 증시에 대해 흥미로운 전망을 내놨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지금 하는 대로만...

브로드컴·오픈AI 10기가와트 협력, 블룸에너지·브룩필드 50억 달러 계약

브로드컴과 오픈AI의 만남, 시장이 들썩이다 브로드컴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12%나 뛰었다. 오픈AI와 함께 10기가와트 규모의...

글로벌 ‘큰손’들이 은밀하게 쓸어 담는 한국 주식! 비밀 투자 전략은 무엇인가?

"대체 무슨 종목을 사야 할까?" 주식 투자자라면 누구나 하는 고민입니다. 그러나 그 고민의 해답을 찾기...

JP모건이 주목한 한국 증시: “밸류업 정책만 지속되면 더 오른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자산운용이 한국 증시에 대해 흥미로운 전망을 내놨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지금 하는 대로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