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3대 의미와 피터 린치처럼 활용하기

PER은 정말 다양하게 쓰이는 지표입니다. PER은 주가순이익배수라고 부르는데요. 현재 주가가 순이익대비 몇 배에 거래되는지 알려줍니다. PER이 낮을수록 회사가 번 이익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하죠.

또, PER은 현재 주가에 주식을 사면 몇 년 후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 알려주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PER 10배 주식을 샀다면, 최근 실적 기준 원금 회수까지 10년이 걸리죠. 물론 향후 회사 순이익이 증가하면 원금 회수 기간이 짧아집니다.

마지막으로 PER을 역수로 사용하면 ‘기대수익률’을 구할 수 있어요. 앞서 예로 들었던 PER 10배인 경우 기대수익률은 1/10 = 10%죠. PER이 낮아질수록 기대수익률은 높아집니다. 이를 종합해봤을 때 PER이 낮으면 투자자에게 유지하죠.

PER은 책 한 권으로 작성될 만큼 깊이 있는 투자지표예요. 아래 책은 PER에 대해 ‘제대로’ 파헤칠 수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PER에 대해 제대로 알고 싶다면 아래 책을 참고해보세요!

주식 PER 종목 선정 활용법 (네이버 도서)

우리가 보통 쓰는 PER은 최근 실적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최근 실적은 ‘과거’를 뜻하죠. 이에 PER은 ‘과거’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그러나 투자는 내가 지불하는 ‘현재’ 투자금이 ‘미래’에 얼마나 불어날 지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이에 PER도 ‘미래’를 기준으로 보면 더 유용합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2025년 연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PER이 낮은 종목을 정리해봤어요. 또, 단순히 올해 실적 기준 PER을 2024년 연간 PER과 비교했는데요. 이를 통해 올해 PER 기준 투자 매력도가 더 커진 종목을 찾을 수 있어요. 그 결과 △금호타이어 △KG스틸 △기아 △DGB금융지주 △키움증권 등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어요.

[표] PER 투자 매력도 더 커진 20

PER 투자 매력도 더 커진 20

(자료: 인리치타임스, 네이버페이 증권)

금호타이어는 우리나라 대표 타이어 기업입니다. 증권가는 금호타이어가 올해 연간 기준 매출액으로 4조9981억원을 벌 것으로 예상했어요. 이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실적입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2%, 17% 성장할 것으로 기대돼요.

실적 성장은 PER을 낮춰 투자 매력도를 키워요. 금호타이어 PER은 작년 연간 기준 4.22배 수준이었어요. 올해 PER은 실적 성장과 함께 3.21배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해요. 4배도 충분히 낮은 수준이었는데, 올해 실적 기준 PER을 보면 ‘더 매력적으로’ 변할 예정입니다.

KG스틸도 금호타이어와 같아요.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5%, 12% 증가할 것으로 기대돼요. 같은 기간 순이익은 23%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적 성장과 함께 PER은 4.15배에서 3.23배로 하락할 것으로 기대돼요. 역시 실적 성장에 따라 투자 매력도가 높아진 거죠.

피터 린치는 PER을 보는 것을 넘어 PER과 EPS 성장률을 함께 보는 PEG(주가이익증가비율)을 사용했어요. PEG는 PER을 EPS 성장률로 나누어 구하는데요. 이 기준으로 20개 종목을 보면 대부분 종목이 투자 매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어요. 그러나 현대차와 넥센타이어는 성장률 대비 주가 수준이 ‘저평가’는 아닌 것으로 확인됐어요. 또, 기아, 키움증권, 한국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도 PEG가 아주 낮은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어요. 이런 종목은 조금 더 신중히 투자할 필요가 있어요.

또 다른 특징으로 금융주가 20개 종목에 많이 포함됐다는 사실이예요. △DGB금융지주 △키움증권 △BNK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기업은행 △하나금융지주 등 6개 종목에 금융주에 해당하죠. 이는 금융주 PER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럴 경우 단순히 PER이 낮다고 투자 매력도가 크다고 할 순 없어요. 그보다는 ‘산업 PER대비 종목의 PER’을 비교 분석해봐야 합니다. 단순히 PER이 낮다고 투자했다가 ‘밸류 트랩(Value Trap)’에 빠질 수 있어요.

참고로 밸류 트랩이란 ‘저평가된 가치주로 보여 투자했으나, 주가가 오르지 않거나 도리어 하락해 돈이 묶이는 현상’을 뜻해요.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딥 밸류(Deep Value)’가 있어요. 밸류 트랩은 조심하되 진정한 딥 밸류 종목을 투자하도록 주의가 필요하죠.

딥 밸류는 제가 참 좋아하는 책입니다. 기본적인 투자 용어와 개념을 공부한 분이라면 한 단계 나아가기 위해 딥 밸류에 대해 공부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딥 밸류 책은 아래 링크(네이버 도서 연결)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딥 밸류, 초저평가주 투자법 (네이버 도서)

인리치타임스에서는 주식투자에 망설이는 분을 위해 라떼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라떼 프로젝트는 ‘하루 한 잔 라떼 값을 아껴 주식투자를 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졌어요. 라떼 주식은 5000원으로 부담없이 주식투자를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주식투자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책과 실전은 완전 다르죠. 공부한 내용을 현실에 사용하면서 얻는 경험은 투자자의 실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라떼 주식은 여러분이 경험을 통해 투자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립니다. 월 5000원이면, 라떼 주식을 매일 추천받을 수 있어요. 라떼 프로젝트와 주식에 대해 아래 링크(네이버 카페)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미친 프로젝트] 하루 5000원! 라떼 한 잔 아껴 주식 제대로 해보자!

whole-body-8693058_1280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