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만드세요, 그러나 마법은 일어나지 않아요”

돈을 모으기 위해 재테크에 대한 정보를 검색해보면 반복적으로 나오는 단어가 있죠. 바로 ISA입니다. ISA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줄임말입니다. ISA를 만든 개인은 하나의 계좌로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어요. 여기서 다양한 금융상품은 △예금 △펀드 △주식 △ETF 등 개인이 재테크를 위해 투자하는 대부분의 상품을 일컫습니다.


ISA는 ‘이것’ 때문에 만든다

isa_tax

그렇다면 왜 다들 ISA 계좌를 만들라고 아우성일까요? 바로 ‘세제 혜택’ 때문입니다.

우리는 금융상품에 가입한 후 ‘이자 또는 배당’을 받습니다. 그리고 받은 이자와 배당에서 15.4%(지방소득세 포함)를 세금으로 내죠. 그런데, ISA를 이용하면 이자와 배당에서 나오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이를 ‘비과세’라고 하죠. 또, 비과세 한도를 넘어가는 금액에 대해서는 15.4%로 대비 낮은 9.9%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즉, ISA를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세금 아끼는 계좌’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ISA를 이용해 세금을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요? 먼저, 비과세 한도를 보면, 일반형 200만원, 서민·농어민형 400만원입니다. 즉, 일반형 기준 내가 받는 이자가 200만원까지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거죠.

일반형 ISA의 경우 납입한도가 연간 2000만원입니다. 만약 2000만원을 ISA를 이용해 예금에 가입한다고 가정해볼게요. 예금 기간은 1년, 이자율은 3%로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이자는 60만원이 나옵니다. 그런데, 만약 ISA가 아닌 일반 예금 상품으로 가입하면 이자 60만원에서 15.4%인 9만2400원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ISA 상품 요약

  1. 가입대상
    ㅇ 일반형: 19세 이상 거주자 / 15세 이상 19세 미만 근로소득자
    ㅇ 서민형: 총 급여 5천만원 이하 근로자 / 종합소득 3800만원 이하 거주자
    ㅇ 농어민: 농어민(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
    ※ 가입조건은 가입 및 만기 연장 시만 확인 필요. 유지 조건 없음
  2. 납입한도
    ㅇ 연간 2천만원 (이월가능, 5년 납입기준 최대 총 1억원)
    ※ 재형저축, 소득공제장기펀드 보유고객은 총 한도에서 해당 상품 잔여한도 차감
  3. 비과세 한도
    ㅇ 일반형: 200만원
    ㅇ 서민·농어민형: 400만원
  4. 비과세 한도초과 시
    ㅇ 분리과세 9.9% 적용
  5. 의무 가입기간
    ㅇ 3년
  6. 중도인출
    ㅇ 원금에 대한 중도인출 가능 (단, 인출금액만큼 납입한도 복원 불가)
  7. 종류
    ㅇ 중개형: 가입자가 투자할 상품을 직접 운용. 국내 상장주식, 채권, 펀드, 리츠 등 대부분 상품 투자 가능. 단, 해외주식 직접거래는 불가. 증권사를 통해 개설가능
    ㅇ 신탁형: 은행에서 주로 가입하는 상품. 가입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한 후 신탁업자에게 운용을 지시하는 상품. 주로 정기예금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음. 중개형과의 가장 큰 차이는 주식과 채권 투자가 불가능. 또, 신탁보수를 내야 함
    ㅇ 일임형: 전문가에게 자산운용을 전적으로 일임하는 투자상품. 은행과 증권사에서 가입 가
    ※ 대부분 중개형 상품으로 가입

그러나 집착하진 말자

alarm-959592_1280

ISA의 세제혜택이 이점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마치 ISA를 갖고 있지 않으면 문제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결국 투자하는 금액이 크지 않고, 상품에 따라 실질적인 세제혜택이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죠. 특히 예금과 같은 안정적인 투자상품을 적은 돈으로 가입하는 경우 세제혜택이 크진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A는 매년 2000만씩 5년 동안 저축을 할 계획입니다. 즉, A는 5년 동안 원금 기준 1억원을 모을 계획이죠. 그런데 A는 원금을 절대 잃고 싶지 않아요. 이에 1년짜리 예금 상품을 5년 동안 매년 가입할 계획입니다. 현재 확인해보니 1년짜리 예금 상품은 금리가 3%네요. 또, 1년 후에 나오는 이자는 기존 원금과 새로 저축하는 금액 모두 합쳐서 새로운 1년짜리 예금에 가입할 계획입니다. 이 계획대로 하면 1년 후 A는 받을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ㅇ 1년 예금(3%) 가입 후 받는 금액 = 원금 2000만원 + 이자 60만원 – 이자에 대한 세금 9만2400원 = 2050만7600원

그리고 이 금액에 2000만원을 더해 총 4050만7600원을 1년짜리 예금(3%) 상품에 다시 가입합니다. 이렇게 5년간 반복하면 5년 후 A가 받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ㅇ 5년 후 = 원금 1억원 + 누적 이자 787만6612원 = 1억787만6612원

이 과정에서 5년 동안 낸 세금은 총 143만3804원입니다.

같은 과정을 ISA 계좌로 저축하면 세금을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요?

ㅇ 5년 후 = 원금 1억원 + 누적 이자 919만8962원 = 1억919만8962원

ISA로 가입한 경우 내는 세금은 16만7720원입니다. 즉, 세금을 약 126만6084원을 아낄 수 있죠. 이렇게 절대적 금액으로 보면 ‘많이 아낀 것과 같아 보입니다’. 그러나 투자 원금 1억원에 대해 아낀 세금의 비율은 약 1.26%입니다. 또, 투자 원금 대비 매년 아낀 세금 비율은 0.35~0.46% 수준입니다.

오해하면 안됩니다. 같은 값이면 세제혜택이 있는 ISA가 당연히 좋습니다. 그러나, 마치 ISA가 돈을 모으는데 있어 마법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처럼 생각하면 안됩니다. 납입한도 2000만원을 5년 동안 꽉 채워 저축했을 때 세금으로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는 1.26%로 마법같은 효과와는 거리가 멉니다.

다시 한 번 말합니다. ISA를 만드세요. 만들어서 세금을 아끼세요. 그러나 ISA에 집착하진 마세요. 그냥 ‘보너스’ 정도로 생각하세요. 추가적인 작은 혜택 정도로 생각하세요. ISA를 만드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저축을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많이, 그리고 꾸준히 하는 것입니다. 이후 ISA와 같은 혜택을 챙기는 것이 순서입니다.


배당주 또는 ETF로… 그러나

ISA가 가진 매력을 제대로 누리기 위해서는 국내 배당주 투자 또는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가 제격입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는 ‘주식 투자로 인한 세금은 없다’는 점입니다. 즉, 세금이 없으니 ISA에 대한 혜택도 없습니다. 단, 국내 주식 중 배당을 주는 경우 ‘배당소득세 15.4%’를 아낄 수 있습니다. 즉, ISA로 국내 주식에 투자해 혜택을 보려면 ‘배당주’에 투자해야 합니다.

국내주식형 ETF도 ISA로 투자한 경우 분배금(=배당과 비슷함)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를 아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주식형 ETF도 국내 주식과 같이 수익실현에 따른 세금(양도소득세)이 없기 때문에 특별한 혜택은 없습니다.

단,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한 해외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따른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ISA로 투자하면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즉, 해외주식형 ETF는 분배금과 매매차익에 따른 세금 모두 아낄 수 있죠. ISA로 투자해 가장 큰 혜택을 보고 싶다면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에 투자하면 됩니다.

그러나 최근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에서 받은 배당에 대해 세제혜택을 받지 못하면서 ISA 비과세 혜택이 사라졌어요. 해외주식형 ETF에서 받는 배당금은 미국에 세금(15%)를 내야 하는데요. 기존에는 미국에 낸 세금을 정부에서 돌려줘 ‘비과세’와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었는데요. 이제 정부에서 미국에 낸 세금을 환급하지 않기로 정하면서 투자자는 결국 배당금에 대한 세금을 내게 되었어요.

더 큰 문제는 세금을 내고 받은 배당이 ISA 비과세 혜택을 주는 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국내 배당소득세 9.9%를 추가로 내야 한다는 점이예요. 즉, 미국에 세금을 내고, 또 우리나라에 세금을 내야 하는 거죠. 세금을 두 번이나 내는 상황이예요.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기획재정부는 세법시행령을 개정해 오는 7월 새로운 제도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죠. 미국에 납부하는 세금에 대해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개정안을 내놓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복리 및 세금 이연’ 효과를 훼손하는 단점이 있죠.

결론적으로 ISA로 제대로 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국내 배당주 투자를 잘하면 가장 좋습니다. 국내상장 해외ETF의 경우 정부 개정안을 관찰해야 하죠. 또, 대안으로 나오는 커버드콜 ETF는 투자상품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투자에 따른 위험은 당연히 짊어져야 하고요. 결국 세제 혜택을 받자고 가입한 ISA가 내 인생을 피곤하게 만들게 됩니다.

ISA를 만드세요. ISA를 통해 예금을 가입하면 이자소득세를 아낄 수 있죠. 재테크 방안 중 하나입니다. 세제 혜택이 ‘마법처럼’ 일어나진 않지만, 아낄 수 있는 세금은 아껴야죠.

물론, 투자 공부를 열심히 하면 ISA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귀찮은 일이 늘어납니다. 또, 위험도 감수해야 하고요. 제대로 할 의지가 없다면 ISA로 꾸준히 저축하고 세금 덜 내는 게 현명할 수 있습니다. 다들 각자 사는 법이 다르니깐요. 또, 작은 것에 집착해 큰 것을 놓치진 말자고요.

‘저PER&PBR’ 데이비드 드레먼 역발상 투자 20선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