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삼성증권이 발간한 한솔케미칼 리포트다. 제목은 ‘돋보이는 반도체 소재 경쟁력, 투자자는 회복에 방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이종욱 연구원은 한솔케미칼에 대한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5만원’을 제시했다. 이 목표주가는 24일 종가 18만2700원보다 약 37% 높은 가격이다.
이 연구원은 “반도체 이익 성장이 전사 이익을 견인하기 시작했다”며, “하향 조정 사이클은 일단락된 것처럼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이제는 전구체와 과산화수소를 비롯한 주력 사업의 회복 강도에 주목할 것이다”며, “때마침 범용 메모리 가격의 상승은 추가적인 생산 시설에 대한 기대를 높일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과산화수소와 전구체로 대표되는 반도체용 소재 이익은 작년 3분기를 바닥으로 점진적 회복 추세에 있다”며, “올해 하반기에도 여세를 몰아 반도체 소재 이익의 추가 성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작년 말부터 보인 회복은 디램과 낸드 가동률 상승을 통한 과산화수소 매출 회복 때문이었다”며, “올해 2분기는 2022년 최고치대비 80% 수준까지 주문량이 회복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또, “올해 하반기부터 보일 회복은 주로 고객사 내 점유율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며, “전구체와 특수가스 이익 성장이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라 판단한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전구체 매출 중 TSA와 BDEAS는 새로운 고객사로부터의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으며, DIPAS와 High-K 소재는 삼성전자의 사용량 증가와 삼성전자 내 점유율 증가가 동시에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며, “특수가스 부문의 GeH4 또한 납품 사이트가 다변화되면서 고객사 내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른 사업 부문에 대해서는 “QD 소재의 경우 TV 시장의 정체와 함께 QD TV의 출하량도 정체 국면에 있다”며, “QD-OLED TV용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으나 추가 QD 패널 공장이 증설되지 않는 한 성장에 낙관적일 수 없다”고 했다.
또, “이차전지 사업의 경우 주력 사업인 바인더와 테이프의 수익성이 하락한 가운데 기술이 변했기 때문에 에전과 같은 매출 회복은 당분간 어려워 보인다”며, “내년 하반기부터 실리콘 음극재 첨가물 등 제품 다변화가 나타날 것이다”고 전망했다.
과거의 영광을 찾으러
한솔케미칼 매출은 작년 주춤했다가, 올해부터 다시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매출액이 주춤하면서 같이 하락했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도 올해부터 회복해 시간이 갈수록 과거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영업이익률은 2024년 17.8% → 2025년 21.9% → 2026년 23.2%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프] 실적 흐름
(자료: 인리치타임스, 네이버 금융)
올해 EPS는 18.3%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 2025년 37.5% → 2026년 15.9%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예상 실적과 현재 주가 수준 기준 PER은 16배로, 성장성과 비교한 PER 수준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래프] EPS성장률&PER
(자료: 인리치타임스, 네이버 금융)
과거 투자자들이 한솔케미칼을 주목한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높은 ROE 수준이었다. 과거 한솔케미칼 ROE는 20% 이상을 꾸준히 유지했다. 그러나 작년 실적이 줄어들며 ROE도 13%까지 내려왔다. 절대적 기준으로 ROE 13%는 낮은 수준이 아니다. 다만 과거 투자자들이 느꼈던 한솔케미칼 매력이 약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행인 점은 올해 실적 회복이 기대되는 가운데 ROE도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ROE 상승은 눈길이 가지만, 최근 주가 기준 PBR이 안전마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투자할 정도의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그래프] ROE&PBR
(자료: 인리치타임스, 네이버 금융)
지난 한 달간 외국인은 한솔케미칼 주식에 관심이 많았다. 해당 기간 외국인은 홀로 174억원을 투자하며 한솔케미칼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최근 ‘순매도’로 돌아서며 한솔케미칼 주식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 누적 순매수 현황(2024.5.27~6.24, 단위: 백만원)
(자료: 인리치타임스, 키움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