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투자전략트럼프, 파월 해고할까? 연준 독립성 논란에 시장 요동

트럼프, 파월 해고할까? 연준 독립성 논란에 시장 요동

Published on

주요 내용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고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보도에 시장이 요동쳤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 보도를 부인했다.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요구하며 파월 의장을 반복적으로 비판해 온 오랜 갈등의 최신 에피소드다.
  •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해고할 경우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가 손상되고 장기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될 수 있다.
  • 파월 의장은 연준이 독립성을 유지할 것이며 2026년 임기가 끝날 때까지 사임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독립성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수요일 백악관 관계자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고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하자 금융시장은 흔들렸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소식이 나간 직후 이 발언을 부인했다.

주식시장은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또 다른 위협을 소화하면서 하락했다. 모닝스타 미국 시장 지수(Morningstar US Market Index)는 16일 수요일(현지시간 기준) 오전 1.16%까지 하락했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이후 다시 회복했다. 한편, 장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장기 채권은 매도세가 이어져 수익률이 상승했다.

모닝스타 웰스(Morningstar Wealth)의 수석 멀티-에셋 전략가 도미닉 파팔라도(Dominic Pappalardo)는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에 대한 매우 공개적인 비판과 계속되는 해임 위협의 가장 큰 결과는 연준의 신뢰성과 정책에 대한 침식 가능성”이라고 말했다.


연준 불안감에 따른 수익률 곡선 가파르게 상승

이러한 우려는 채권 시장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16일 수요일(현지시간 기준) 거래에서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3.97%에서 3.87%로 하락했다. 반면,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97%에서 5.08%로 급등했다.

맥쿼리 그룹(Macquarie Group)의 글로벌 외환 및 금리 전략가 티에리 위즈먼(Thierry Wizman)에 따르면 이는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는 “파월 의장이 비난받거나 해고된다면 (채권 수익률) 곡선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단기 수익률은 시장이 파월 의장의 후임자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기 때문에 상승한 것으로 풀이한다.

그러나 위즈먼은 장기적으로 볼 때 “연준이 물가 안정 목표에 덜 신경을 쓰면서 인플레이션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진다는 것은 장기 채권이 잠재적으로 더 위험하고 미래에 수익률이 더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투자자들이 위험을 상쇄하기 위해 더 높은 프리미엄을 요구함에 따라 장기 채권의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

파팔라도는 “장기 수익률 상승은 인플레이션 재발 또는 연준의 변화와 추가적인 정치적 영향력으로 발생한다”며, “잠재적 불안정성을 감안할 때 투자자들이 장기 국채를 보유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는 우려로 장기 수익률 상승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image 11

트럼프와 파월, 위기에 처하다

수요일의 공방은 트럼프 행정부가 파월 의장의 해임을 위협한 첫 번째 사례가 아니다. 스트라테가스(Strategas)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돈 리스밀러(Don Rissmiller)는 “대통령과 연준 의장이 이견을 보인 역사는 길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금리 인하를 추진하며 파월 의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올봄 파월 의장의 해임을 다시 촉구했다. 또, 올여름 행정부는 파월 의장이 의회를 오도하고 연준 본부 개조에 사용된 자금을 잘못 관리했다고 주장했다.


연준 독립성 위협에 처하다

연준은 연방 정부의 다른 기관들과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중앙은행은 의회에 책임이 있지만,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는 목표를 독립적으로 추구한다.

리스밀러는 “대부분의 경제 분석은 독립적인 중앙은행을 지지하는데, 그것이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정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정치적 압력에 취약하다고 인식되는 중앙은행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낮게 유지하고 통화 공급을 늘리려는 유혹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위험한 제안이다.

조지타운 대학교 맥도너 경영대학원(Georgetown University’s McDonough School of Business)의 제임스 엔젤(James Angel) 재무학 부교수는 올봄 모닝스타에 “수많은 국가들이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인플레이션 관리에 필수적임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인들이 통화 공급을 통제하게 되면, 그들은 너무 많은 돈을 인쇄하는 나쁜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행정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독립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연준 관계자들도 통화 정책 결정을 내릴 때 미리 정해진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데이터에 의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상회하고 관세로 인해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연준은 2025년 현재까지 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파팔라도는 “트럼프의 지속적인 비판은 연준이 현재 직면한, 폭주하는 인플레이션을 막으면서도 높아진 불확실성 속에서 경제, 고용, 시장 유동성을 지원하려는 난관을 해결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리스밀러는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해고하더라도 단기적으로 폭주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한다. 그는 “연준의 과정은 여전히 통화 정책을 변경하기 위한 위원회 투표를 필요로 한다”고 설명한다. 리스밀러는 “의장이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이 궤도를 벗어나리라 생각하지 않습니다며, “시스템은 정치적 압력에 저항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보다 완화된 시장 반응

16일 수요일(현지시간 기준) 오후 금융시장은 주가가 상승하고 장기 채권 수익률이 장중 최고치에서 하락하면서 반등했다. 파팔라도는 “관세 관련 헤드라인에서 보았듯이, 트럼프 대 파월 상황에 대한 시장 반응은 올해 초보다 중요성이 덜해졌다”며 “헤드라인 피로는 실재하며 이 시점에서 만연해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자들이 올해 목격했듯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및 기타 정책 발표는 종종 철회되거나 수정되었다. 또한, 파월 의장을 해고하려는 시도는 오랜 과정이 될 수 있다. UBS 애널리스트들은 수요일에 “이전 판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명확성이 필요할 것”이라고 썼다.

자료 출처: Morningstar, Will Trump Really Fire Powell? Markets Whipsaw with Fed Independence On the Line

👇 워런 버핏도 당한 크래프트 하인즈의 몰락 “당신의 투자는 안전한가요?” 👇

최신 글

워런 버핏도 당한 크래프트 하인즈의 몰락 “당신의 투자는 안전한가요?”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 투자의 기본 격언이죠. 하지만 현실은 복잡합니다. 오늘은 투자계의 살아있는 전설...

“매수 기회”의 진정한 의미와 “떨어지는 칼날”에 대해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는 오랫동안 트레이더들이 따르려는 인기 있는 조언이다. 이 조언을 적용하는 사람들에게는...

KCC 주가 2배 오를까? 자사주 17.4% 소각 효과 주목

정유화학 섹터 최고 수준 자사주 보유... LS증권 목표가 44만원 상향모멘티브 인수로 글로벌 실리콘 기업...

자사주 소각 의무화 논의 가속화…태광산업 사태로 드러난 제도 허점

기업의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둘러싼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최근 태광산업의 자사주 기반 교환사채(EB) 발행...

워런 버핏도 당한 크래프트 하인즈의 몰락 “당신의 투자는 안전한가요?”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 투자의 기본 격언이죠. 하지만 현실은 복잡합니다. 오늘은 투자계의 살아있는 전설...

“매수 기회”의 진정한 의미와 “떨어지는 칼날”에 대해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는 오랫동안 트레이더들이 따르려는 인기 있는 조언이다. 이 조언을 적용하는 사람들에게는...

KCC 주가 2배 오를까? 자사주 17.4% 소각 효과 주목

정유화학 섹터 최고 수준 자사주 보유... LS증권 목표가 44만원 상향모멘티브 인수로 글로벌 실리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