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뉴스'철근 200만톤 줄였는데도 적자' 방법있나?

‘철근 200만톤 줄였는데도 적자’ 방법있나?

Published on

요즘 철근 만드는 회사들 사정이 정말 안 좋다. 현대제철이랑 동국제강 같은 큰 회사들이 2년 동안 철근을 200만톤이나 덜 만들었는데도, 만들면 만들수록 손해라는 게 문제다. 전문가들은 이제 철근 만드는 설비를 절반이나 줄여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한다.

철근 생산 엄청 줄였는데 왜 안 팔릴까

2022년에 999만톤 만들던 철근을, 작년엔 779만톤만 만들었다. 200만톤 넘게 줄인 건데 올해는 더 줄어서 714만톤 정도 만들 것 같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만든 게 422만톤밖에 안 된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생산을 줄였는데도 철근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거다. 지금 철근 한 톤 가격이 68만원인데, 이게 본전치기하는 가격인 75만원보다 훨씬 낮다. 5월 성수기 때도 75만원이었고, 8월에 큰 회사들이 아예 공장을 멈췄을 때도 71만원까지 떨어졌다.

공장 문 닫는 초강수까지 뒀는데

현대제철이랑 동국제강은 요즘 공장을 60% 정도만 돌린다. 전기세가 비싼 낮에는 아예 철근을 안 만들고, 전기세가 싼 밤에만 만든다. 그래도 안 되니까 아예 공장 문을 닫는 극약처방을 했다.

현대제철은 4월에 인천 공장을 한 달 동안 쉬었다. 그리고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는 모든 철근 공장을 다 멈췄다. 동국제강도 7월 22일부터 8월 15일까지 인천 공장을 셧다운했는데, 이 공장이 1972년에 처음 가동한 이후로 멈춘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철근 가격이 안 올랐다. 공급이 너무 많으니까 회사들이 뭘 해도 소용이 없는 상황이 된 거다.

건설 경기가 이렇게 안 좋을 줄이야

철근을 제일 많이 쓰는 곳이 건설 현장인데, 건설 경기가 완전히 얼어붙었다. 2021년엔 철근이 1,123만톤 필요했는데, 작년엔 778만톤으로 30%나 줄었다. 올해는 710만톤 정도 쓸 것 같은데, 어떤 사람들은 600만톤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고 한다.

작년 건설 착공 면적이 7,931만 제곱미터였는데, 이게 2008년 금융위기 때랑 비슷한 수준이다. 최근 10년 평균이 1억 1,800만 제곱미터였으니까, 그것의 67%밖에 안 되는 거다. 건물을 새로 짓는 게 이렇게 없으니 철근이 안 팔리는 게 당연하다.

옛날에 너무 설비를 많이 늘린 게 문제

지금 국내에서 철근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 1년에 1,300만톤이나 된다. 건설 경기가 좋을 때 여기저기서 너도나도 철근 공장을 지었기 때문이다. 철근 만드는 기술이 그렇게 어렵지 않아서, 큰 회사든 작은 회사든 다들 공장을 늘렸다.

그런데 지금 철근이 필요한 양은 600만톤에서 710만톤 정도다. 만들 수 있는 양의 절반 정도만 필요한 거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지금 있는 설비의 절반을 없애야 시장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말한다.

회사들 입장에서는 이미 할 수 있는 건 다 해봤다. 생산도 줄이고, 공장도 멈추고, 가격도 올려보려고 했는데 다 안 통했다. 이제는 정부가 세금 혜택 같은 실질적인 지원을 해줘야 설비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정부도 나섰지만 실질적 지원이 관건

정부도 철근 산업이 심각하다는 걸 알고 설비 조정을 해야 한다고 나섰다. 회사들끼리 알아서 줄이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고 본 거다. 하지만 철강 업계에서는 회사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이 있어야 적극적으로 설비를 줄일 수 있다고 말한다.

공장을 없앤다는 건 거기서 일하던 사람들 문제도 있고, 투자한 돈도 날리는 거라서 쉽지 않다. 그래서 세금을 깎아준다든지, 구조조정 지원금을 준다든지 하는 게 필요하다는 거다.

지금 철근 회사들은 만들면 만들 수록 손해를 보는 상황이다. 당장은 건설 경기가 나아질 기미도 안 보인다. 결국 살아남으려면 지금 있는 설비를 대폭 줄이는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게 한두 회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철강 산업 전체의 미래가 걸린 일이라는 거다.

👉 ‘진라면 약간 매운맛’ 먹어봤더니! 오뚜기 주식 사볼까?

👉 애슐리퀸즈 “돈이 남나?” 비결은?

최신 글

“초등생 우리 아이에게 꼭 주고 싶어요” 가장 확실한 장기투자 주식 통장

요즘 부모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아이 명의로 주식 통장을 만들어주는...

앤트로픽 500억 달러 AI 투자부터 페니 생산 중단까지

AI 기업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요즘 AI 관련 소식이 정말 많은데, 특히 앤트로픽이라는 회사가 큰...

HBM4E, 2027년이면 HBM 시장의 40%를 차지한다

요즘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를 꼽으라면 단연 HBM 이야기다. 특히 7세대 HBM인 HBM4E를...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 구글(알파벳) 주식 매입의 의미

이 영상은 '투자의 현인'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최근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주식을...

“배달앱 별점 대출 심사에 반영?” 신용평가 시스템 완전히 바뀐다

요즘 은행에서 대출받으려고 하면 신용등급부터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막상 신용등급이 낮거나 금융거래 이력이 별로...

HD현대, 인도 조선시장에 꽂혔다…240억 달러 프로젝트의 속내

HD현대가 요즘 인도에 꽤 공을 들이고 있다. 그냥 단순히 배 몇 척 팔겠다는 수준이...

“평생 써 먹자” 전자공시시스템(Dart)으로 실적 빠르게 확인하기

이 영상은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활용하여 기업의 실적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영상입니다. 특히...
Enrich Times | 부자가 되는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