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뉴스"직장인 재테크 1위가 저축?" 요즘 직장인 돈 관리 현실

“직장인 재테크 1위가 저축?” 요즘 직장인 돈 관리 현실

Published on

요즘 직장인들한테 “재테크 뭐 하세요?” 물어보면 대부분 뭔가 하나씩은 하고 있다. 취업정보업체 인크루트에서 직장인 383명한테 물어봤더니 92.2%가 재테크 하고 있다고 답했다. 10명 중 9명이다.

월급만으로는 안 되는 시대가 됐다는 얘기다.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월급은 그대로니까 뭔가 해야 한다는 생각이 다들 있는 것 같다.

83%가 선택한 재테크는 통장

그런데 재밌는 건 요즘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재테크가 저축이라는 것이다. 무려 83%가 저축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식도 아니고, 코인도 아니고, 부동산도 아닌 통장이다.

2020년 초반만 해도 다들 주식 얘기하고 코인 얘기했는데 분위기가 확 바뀐 느낌이다. 금리가 높아지면서 “그냥 통장에 넣어두는 게 낫다”는 생각이 퍼진 것 같다. 요즘 예금 금리가 3~4%는 되니까 잘못 투자해서 손해 보는 것보다 안전하게 이자라도 받자는 심리인 거다.

저축 다음으로는 국내 주식이 63.5%로 2위였다. 그다음이 해외 주식 43.9%, 펀드나 ETF가 37.4%, 코인이 30%, 현물 투자가 19%, 부동산이 18% 순서였다.

생각보다 부동산 비율이 낮은데 이건 아무래도 진입장벽이 높아서 그런 것 같다. 집 한 채 사려면 몇억인데 월급쟁이가 쉽게 손대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나이에 따라서 투자 스타일도 다르다

20대 직장인들은 저축을 92.6%가 하고 있었는데 해외 주식도 63%나 했다. 젊은 층이 글로벌 투자에 관심이 많다는 게 느껴진다. 미국 주식 하는 친구들 주변에 많을 것이다.

40대는 부동산 투자 비율이 21%로 가장 높았고 현물 투자도 17%나 했다. 금이나 명품 같은 걸 사두는 사람들이 이 나이대에 많다는 얘기다. 투자 포트폴리오가 가장 다양한 세대였다.

50대는 부동산 비율이 30%로 제일 높았고 펀드를 38%가 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투자 방식을 선호하는 것 같다. 은퇴가 코앞이니까 안정적으로 가려는 거다.

젊을수록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나이가 들수록 안정적으로 간다는 게 숫자로 확인됐다.

결혼하면 부동산 투자가 늘어난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도 투자 패턴이 달랐다. 저축이랑 주식은 미혼이든 기혼이든 비슷하게 많이 하는데 부동산에서 차이가 확 났다.

기혼자 중에서는 28%가 부동산 투자를 하고 있었는데 미혼자는 8.7%밖에 안 됐다. 3배 넘게 차이가 난다.

결혼하고 가정을 꾸리면 아무래도 집이 필요하니까 부동산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게 자연스럽다. 미혼일 때는 전세나 월세로 살다가 결혼하면서 내 집 마련을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는 거다.

직장인 절반은 일하면서도 투자한다

더 흥미로운 건 직장인 절반 정도가 근무 시간 중에도 재테크 활동을 한다고 답한 거다. 정확히는 49.6%였다.

그중에서도 7.4%는 “매우 자주 한다”고 답했다. 업무 시간에 수시로 주식 앱 켜서 확인하는 사람들이다. 대부분은 출퇴근 시간이나 점심시간 같은 틈새 시간에 1시간 이내로 한다고 한다.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다 할 수 있으니까 화장실 가서도 주식 확인하고 그런다. 직장 생활하면서 투자도 동시에 하는 게 이제 일상이 된 것 같다.

재테크를 하는 이유

직장인들한테 왜 재테크를 하는지 물어봤더니 목돈이랑 여유자금 확보가 49.6%로 1위였다. 절반 정도가 이 이유로 재테크를 한다.

2위는 노후 준비로 30.3%, 3위는 내 집 마련으로 12.5%였다.

결국 다들 미래가 불안해서 하는 거다.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가 불안하고, 월급만으로는 집 사기 어렵고, 그러니까 지금부터 뭐라도 해야 한다는 생각인 거다.

수익은 어땠을까

재테크 하는 사람들 중에서 60.1%는 이익을 냈다고 답했다. 절반이 넘는다. 본전이라고 답한 사람이 23.8%, 손실을 봤다는 사람이 16.1%였다.

세대별로 보면 20대가 72%가 수익을 냈다고 해서 가장 높았다. 반면 50대는 손실을 본 비율이 29%로 제일 높았다.

젊은 층이 공격적으로 투자해서 수익률이 높았던 것 같고, 50대는 투자 금액이 크다 보니 손실도 컸던 게 아닐까 싶다.

재테크를 못 하는 이유

재테크를 안 하는 사람은 7.8%밖에 안 됐는데 이들한테 이유를 물어봤다.

절반은 여유 자금이 없어서라고 답했다. 당장 생활비 내기도 빠듯한데 투자할 돈이 어디 있냐는 거다.

2030대는 방법을 몰라서라는 답이 많았고, 4050대는 돈이 부족해서라는 답이 많았다.

젊은 사람들은 재테크에 대한 정보와 교육이 부족한 거고, 나이 든 사람들은 자녀 교육비나 생활비 부담 때문에 여유가 없는 거다.

요즘 직장인 재테크 정리해보면

지금 직장인들 재테크를 한마디로 정리하면 안전하게 가면서도 기회는 노린다는 거다.

저축으로 기본을 다지고, 주식으로 수익을 노리고, 나이와 상황에 맞춰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한 곳에 몰빵하지 않고 여러 곳에 분산해서 리스크를 줄인다.

2020년처럼 무작정 주식이나 코인에 뛰어드는 분위기는 아니다. 고금리 시대가 되면서 안정적인 저축이 다시 인기를 얻은 건데, 그렇다고 저축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도 다들 안다.

그래서 저축은 기본으로 하면서 주식이나 다른 투자도 병행하는 거다. 소액으로 여러 곳에 나눠서 투자하고, 꾸준히 하는 게 요즘 직장인들의 재테크 방식인 것 같다.

결혼 전후로 투자 패턴이 바뀌는 것도 재미있는 부분이다. 미혼일 때는 주식 중심으로 가다가 결혼하면 부동산 비중이 확 늘어난다.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서 투자 전략도 바뀌는 거다.

일하면서도 틈틈이 주식 앱 켜서 확인하고, 출퇴근 시간에도 투자 공부하고, 이게 요즘 직장인들의 일상이 됐다.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아직 재테크를 시작 안 한 사람들이라면 일단 저축부터 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월급 받으면 자동이체로 일정 금액 떼어놓는 거다.

그다음에 여유가 생기면 주식이나 펀드 같은 걸 조금씩 해보고, 공부하면서 투자 금액을 늘려가는 게 안전하다.

중요한 건 무작정 남 따라하지 말고 내 상황에 맞게 하는 거다. 20대 투자랑 50대 투자가 다르고, 미혼 투자랑 기혼 투자가 다르다. 내 나이와 상황, 목표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한다.

재테크가 부담스럽다면 일단 통장에 돈 모으는 것부터 시작해도 된다. 지금은 금리가 괜찮으니까 예금만 잘해도 꽤 괜찮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 증시 하락 ‘투자 기회로’ 하락 속 주목받은 종목은?

👉 테슬라 머스크 1조달러 보상 투표, 스타벅스 레드컵데이 파업, 비트코인 10만달러 붕괴

최신 글

HBM4E, 2027년이면 HBM 시장의 40%를 차지한다

요즘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를 꼽으라면 단연 HBM 이야기다. 특히 7세대 HBM인 HBM4E를...

K메모리 대호황, D램 영업이익률 70% 시대가 열린다

요즘 국내 반도체 업계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메모리 반도체를 만드는 족족 팔려나가고 있고, 가격은...

제약·바이오주 급등, 이제 대세주 된 걸까?

요즘 주식 시장에서 제약·바이오주가 정말 핫하다. 코스닥 거래대금 순위를 보면 제약 섹터가 1위를 차지하고...

SK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매각, 46년 필름 가공 기업 새 주인 찾는다

국내 필름 가공 업계에서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온 SK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가 매물로 나왔다. 이 회사를 보유하고 있던...

엔비디아 실적 발표 임박, 버크셔 알파벳 투자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다가온다 엔비디아(NVDA)가 수요일에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시장에서는 EPS 1.25달러, 매출 549억 달러를...

제약·바이오주 급등, 이제 대세주 된 걸까?

요즘 주식 시장에서 제약·바이오주가 정말 핫하다. 코스닥 거래대금 순위를 보면 제약 섹터가 1위를 차지하고...

앤트로픽 500억 달러 AI 투자부터 페니 생산 중단까지

AI 기업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요즘 AI 관련 소식이 정말 많은데, 특히 앤트로픽이라는 회사가 큰...
Enrich Times | 부자가 되는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