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뉴스"다 잘 벌었다는데" 주식만 시작하면 돈 잃는 사람들의 공통점

“다 잘 벌었다는데” 주식만 시작하면 돈 잃는 사람들의 공통점

Published on

요즘 주변을 보면 주식 이야기가 정말 많다. 코스피가 3000선을 돌아다니고, SNS에는 수익 인증이 넘쳐난다. 그런데 이상한 건 정작 내 주변 사람들 중 절반은 “나만 손해 봤다”고 말한다는 거다. 분명 같은 시장에서 투자하는건데 왜 누구는 벌고 누구는 잃는 걸까.

찰리 멍거라는 사람이 있다. 워런 버핏 옆에서 64년간 함께 일한 투자자인데, 작년에 99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 사람이 평생 강조한 말이 하나 있다. “투자는 지능이 아니라 성격 싸움이다.” 똑똑해서 돈을 버는 게 아니라, 감정을 잘 통제하는 사람이 결국 이긴다는 얘기다.

인생에서 주식 매수 기회는 20번뿐이라고?

멍거는 재미있는 말을 했다. 인생에서 주식을 살 기회가 딱 20번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투자하라는 거다. 물론 진짜 20번만 사라는 게 아니다. 그만큼 신중하게, 정말 확신이 설 때만 사라는 의미다.

실제로 그는 코스트코, BYD, 웰스파고 같은 몇 안 되는 기업에 집중 투자해서 엄청난 수익을 냈다. 여기저기 손대지 않고, 진짜 믿을 수 있는 회사만 골라서 오래 들고 간 거다. 분산투자가 답이라고들 하지만, 멍거는 오히려 집중투자를 선택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가. 오늘은 조선주가 오른다고 하면 조선주 사고, 내일은 방산주가 뜬다고 하면 방산주 사고. 친구가 반도체로 돈 벌었다고 하면 또 반도체 사고. 결국 이것도 저것도 아닌 포트폴리오가 되어버린다.

다들 사니까 나도 산다는 심리

주식으로 손해 보는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나만 놓치면 어떡하지’라는 두려움이다. 영어로는 FOMO라고 하는데, 이게 진짜 무섭다. 뉴스에서 어떤 주식이 계속 오른다고 하면 참을 수가 없다. 지금 안 사면 나만 바보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급하게 산다. 그런데 문제는 그때가 보통 고점이라는 거다. 남들이 다 떠들 때는 이미 많이 오른 상태다. 그리고 내가 사면 신기하게도 떨어지기 시작한다. 그럼 또 당황해서 판다. 이게 반복되면서 계좌는 점점 빨개진다.

멍거는 정반대로 행동했다. “강세장에서는 살 게 없다”고 했다. 모두가 열광할 때는 오히려 현금을 쥐고 기다렸다. 1970년대 오일쇼크나 2000년 닷컴 버블 같은 위기 때 오히려 매수에 나섰다. 남들이 두려워할 때 사고, 남들이 탐욕스러울 때 팔았다. 말은 쉽지만 실천하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다.

싸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또 하나 흔한 실수가 있다. “이 주식 싸다”는 말에 혹해서 사는 거다. 주가가 많이 떨어졌으니 이제 오를 일만 남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싸게는 다 이유가 있다. 회사 실적이 안 좋거나, 산업 자체가 사양길이거나,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평범한 기업을 싸게 사는 것보다, 훌륭한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는 게 낫다.” 좋은 회사를 조금 비싸게 사도 결국은 그게 이득이라는 얘기다.

그럼 좋은 회사는 뭘까. 경제적 해자라는 게 있다. 쉽게 말하면 다른 회사가 쉽게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이다. 브랜드가 강하거나, 기술이 독보적이거나, 비용 구조가 탄탄하거나. 이런 회사들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 잘나간다.

그런데 우리는 대부분 반대로 한다. 뉴스에서 떠들어대는 테마주를 산다. 이해도 잘 안 되는 회사인데 “다들 오른다니까” 일단 산다. 재무제표는 처다보지도 않는다. 그러다가 주가가 빠지면 “사기당했다”고 한다.

모르는 건 사지 말아야 한다

멍거가 가장 강조한 건 자기 능력의 한계를 아는 거다. “모르는 기업은 절대 사지 않는다”는 게 그의 원칙이었다. 아무리 유망해 보여도, 자기가 이해하지 못하는 산업이면 손대지 않았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가. 유튜브에서 누가 추천하면 덥석 산다. 커뮤니티에서 핫하다고 하면 일단 산다. 친구가 돈 벌었다고 하면 나도 산다. 그 회사가 뭘 하는지, 어떻게 돈을 버는지는 잘 모른다. 그냥 오를 것 같으니까 산다.

이렇게 투자하면 결국 시장의 먹잇감이 된다. 정보를 늦게 받고, 늦게 사고, 늦게 판다. 큰손들은 이미 다 빠져나갔는데 혼자 물려있는 경우가 생긴다.

이번엔 다르다는 착각

“이번엔 다르다”는 말처럼 위험한 말이 없다. 주식 시장에서 이 말이 나오면 조심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버블은 항상 “이번은 다르다”는 말과 함께 왔다.

2000년 닷컴 버블 때도 그랬다. “인터넷은 새로운 경제다. 전통적인 밸류에이션은 의미 없다”고 했다. 2008년 금융위기 전에도 “부동산은 절대 안 떨어진다”고 했다. 그리고 우리는 그 결과를 안다.

지금 시장을 보자. 조선주, 방산주, 반도체주가 불타고 있다. 뉴스마다 “사상 최고가 경신”이라는 제목이 달린다. 이럴 때일수록 냉정해야 한다. 멍거라면 지금 뭘 했을까. 아마 현금을 들고 다음 기회를 기다렸을 것이다.

결국 투자는 자기와의 싸움이다

멍거의 성공 비결은 특별한 게 아니었다. 높은 IQ도 아니고, 특별한 정보도 아니었다. 그저 감정을 통제하고, 원칙을 지키고, 남들과 다르게 생각한 거다.

주식으로 돈을 잃는 이유는 사실 간단하다. 남들이 벌 때 나도 벌고 싶어서. 놓칠까 봐 두려워서. 내가 얼마나 모르는지 모르고 덤비기 때문이다.

지금 당신의 계좌를 한번 보자. 왜 이 주식을 샀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이 회사가 10년 후에도 잘나갈 거라고 확신하는가. 만약 대답이 “잘 모르겠는데 오를 것 같아서”라면, 그건 투자가 아니라 도박이다.

멍거는 말했다.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어리석은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 돈을 버는 비결보다 잃지 않는 비결이 더 중요하다. 그리고 잃지 않으려면 결국 자기 자신을 이겨야 한다.

시장은 항상 기회를 준다. 급할 것 없다. 진짜 좋은 기회는 남들이 두려워할 때 온다. 지금처럼 모두가 열광할 때는 오히려 한 발 물러서서 지켜보는 게 현명하다. 어차피 인생에 기회는 20번 있다. 아직 19번이나 남았다.

👉 외국 투자회사 ‘집중 매수’, 왜 이 종목을 샀는가?

👉 메타 300억 달러 투자부터 BYD·포드 대규모 리콜까지

최신 글

HD현대, 드디어 3세 경영 시대 열린다

HD현대그룹에서 꽤 큰 인사 발표가 나왔다. 오너 3세인 정기선 수석부회장이 회장으로 승진하면서 본격적인 3세...

위츠 주가 2만원에서 6천원대로 폭락, 대체 무슨 일이?

요즘 코스닥 시장을 보다 보면 위츠라는 회사가 눈에 띈다. 주가가 고점 대비 71%나 떨어졌다고...

메타 300억 달러 투자부터 BYD·포드 대규모 리콜까지

17일(미국 현지시간 기준) 빅테크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부터 자동차 회사들의 리콜 소식, 그리고 여기저기서 터져나오는...

미국 증시에 드디어 찾아온 변동성, ‘바퀴벌레 한 마리’ 의미는?

불과 일주일 전만 해도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치 경신을 코앞에 두고 있었다. 그런데 2025년...

구글 인도 100억 달러 투자, 포드 공급망 차질, GM 전기차 재조정

최근 글로벌 주식 시장에서 꽤 흥미로운 소식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빅테크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JP모건이 주목한 한국 증시: “밸류업 정책만 지속되면 더 오른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자산운용이 한국 증시에 대해 흥미로운 전망을 내놨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지금 하는 대로만...

강연·방송 등 ‘함께’ 합니다

🤝 '함께' 합니다 인리치타임스는 '교육'을 중시합니다. 투자자가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면 '공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