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 같은 수준으로 해서는 남들보다 뛰어날 수 없다”. 데이비드 드레먼은 유행에 따르지 않아요. 그는 유행을 따라해서는 돈을 벌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이에 그의 투자법을 ‘역발상 투자’라고 부릅니다.
그는 역발상 투자를 통해 많은 돈을 벌었어요. 데이비드 드레먼은 인기없는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16년간 617% 수익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어요. 또, 다른 자료에 따르면 그가 1970년부터 40여년간 시장 수익률의 2배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적혀있어요.
데이비드 드레먼이 얘기한 ‘역발상 투자’란 무엇일까요? 또, 그는 어떻게 역발상 투자를 생각했고,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그는 전제부터 ‘역발상’했다
데이비드 드레먼은 증권 애널리스트로 커리어를 시작한 1969년 유행을 좇아 투자하다가 75% 손실을 봤어요. 그는 “내가 그랬던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주식을 살 때 가지각색의 편견에 사로잡히는데 이것만 피하면 투자실패도 피할 수 있음을 배웠다”고 말했어요.
뼈아픈 실패를 맛봤지만, 그는 실패를 계기로 좌절하지 않고 투자자의 심리와 행동 패턴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기존에 시장을 지배해온 효율적 시장 가설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투자자 과잉반응 가설’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역발상’과 같이 기존의 발상을 깨버린 거죠.
그는 “인간은 합리적이지 않다”는 전제하에 생각을 펼쳐나갑니다. 인간이 합리적이라는 전제하에 탄생한 효율적 시장 가설과는 완전히 반대로 생각한 거죠. 그야말로 ‘역발상’입니다. 데이비드 드레먼은 “인간의 감정은 위험에 대한 이성적 판단이나 선택을 바꿔놓거나 간섭할 수 있다”며 “버블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패닉으로 이어지며 가격이 폭락하는 이유는 인간의 감정 때문이다”고 말했어요. 감정을 지닌 인간이 주식시장에서 거래를 하기 때문에 시장은 효율적이지 않은 거죠.
역발상은 ‘이런 거다’
데이비드 드레먼은 효율적이지 않은 시장을 이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그 방법으로는 ‘인기없는 소위주에 투자하라’고 강조했죠. 그는 “전문가들이 좋아하는 주식은 절대 사면 안 된다”며, “전문가들이 개인보다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만, 예측 정확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고 주장해요. 또, “오히려 인기주에 대한 편견으로 지나치게 낙관적인 경향을 가진다”고 지적했어요. 그는 이런 ‘비이성적인 행태’를 이용하자고 밝혔죠.
그는 주가순이익배수(PER), 주가순자산배수(PBR), 주가현금흐름배수(PCR)이 낮고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에 관심을 가지라고 조언했어요. 이런 종목이 인기 없는 종목이라고 했죠. 동시에 그는 연구로 주장을 뒷받침했어요.
미국 시장에서 지난 25년간 저PER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투자했을 때 누적 수익률은 3511%에 달한다고 했어요. 또, 저PBR(3064%), 저PCR(3464%) 등도 높은 성과를 기록했어요. 이는 시장을 크게 웃도는 성과입니다.
개인투자자가 펀드매니저를 이기는 방법
데이비드 드레먼은 개인투자자가 역발상 투자를 이용하면 펀드매니저와 같은 전문가를 웃도는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해요. 역발상 투자는 많은 정보나 분석력, 예측력이 없어도 시장을 웃도는 이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죠. 또, 어떤 주식을 고를지 고민할 필요가 없고, 방법도 단순해 개인투자자에게 맞는 투자전략입니다.
만약, 부지런한 개인투자자라면 해마다 포트폴리오를 조정해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어요. 물론, 그렇지 않아도 충분한 성과를 낼 수 있지만요. 데이비드 드레먼은 “포트폴리오 변경을 전혀 하지 않아도 높은 수익이 유지된다”며 “처음에 신중하게 주식을 고른뒤 조금만 조정해나가면 시장에서 큰 돈을 벌 수 있다”고 말했어요.
단, 주의할 점은 역발상 투자는 ‘장기투자’에 적합해요. 역발상 투자는 방법은 쉬우나 오랜기간 꾸준히 실행하는 건 결코 쉽지 않아요. 데이비드 드레먼은 “역발상 투자에 따라 선정된 주식들이 수십년동안 시장에서 수익이 높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한 해나 몇 해 동안은 시장 평균보다 나쁠 수 있다”며 “자신의 전략이 시장에서 즉시 성공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마라”고 조언했어요.
그는 말합니다. “이기는 전략이 있으면 뭘 합니까. 그걸 사용할 수 있어야죠. 역발상 기법은 이해하기 쉽고 또 실천하기도 그만이에요. 하지만 전문가든 아마추어든 대부분이 끝까지 지속하지 못한다는 게 문제죠”.
역발상 대가의 10대 투자원칙
① 최악의 상황이야말로 최고의 수익을 얻는 절호의 기회
② 역발상 투자는 효과적인 만큼 고독감과 외로움은 필연
③ 전문가들의 의견과 보고서에 늘 의문을 가질 것
④ 회사 분석 보고서는 읽되 추천 의견은 받아들이지 말 것
⑤ 인플레이션과 세금을 감안한 세후수익률로 판단할 것
⑥ 시장 관심 밖이면서 20% 이상 저평가된 종목이 매수 후보
⑦ 정기소득 원한다면 배당수익률 상위 20%로 종목 압축
⑧ 시가총액 크면서 최근 이익 증가세가 꾸준한 게 유망
⑨ 최소 2년 이상 보유하며 저평가 여부 확인 후 재조정
⑩ 숫자 말고는 경영진의 경영능력이 최우선 투자기준
데이비드 드레먼은?
ㅇ 1936년 캐나다 위니펙 출생
ㅇ 컬럼비아 대학교 석사
ㅇ 매니토바 대학교 법학 박사
ㅇ 1950년대 후반~1977년, 로셔 피어스 레프네스 증권 리서치
ㅇ 1977~ 현재, 드레먼 밸류 매니지먼트 창립자 겸 회장
ㅇ 저서: 역발상 투자 전략, 주식시장 성공 심리학
데이비드 드레먼 더 알고 싶어요
그는 ‘Contrarian(반대론자)’란 말을 입에 달고 살았어요. 그가 쓴 네 권의 책 제목에도 모두 이 단어가 들어갈 정도로 자주 언급했는데요. 심지어 그의 요트 이름조차 ‘Contrarian’입니다. 그러나 남들과 반대편에 선다는 건 말이 쉽지 실천하기는 쉽지 않아요. 역발상 투자는 고독함과 단짝인 이유죠.
그는 월가보고서를 불신하는 걸로도 유명했어요. 그의 책을 보면 상당한 지면을 할애해 기업분석가들의 엉터리 실적전망을 비난하는데요.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가 자주 발생하는 것이야말로 엉터리 전망이 그만큼 많다는 반증이라고 말해요. 이에 그는 증권가 보고서와 종목 추천보다는 회사 정보를 다룬 자료를 활용하라고 조언했어요.
데이비드 드레먼은 “전문가들의 실적 추정치 의견이 4분기 연속 5% 오차범위에 들어갈 확률은 130분의 1에 불과하다”며 “향후 5년후 실적을 정확히 예측하기보다 로또복권에 1등으로 당첨될 확률이 10배 높다”고 분석가들을 비판한 바 있어요.
또, 그는 투자위험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 대해서도 단호히 ‘반기’를 들었는데요. 보통 주식투자 위험을 ‘변동성’이라고 하는데요. 그는 변동성은 위험이 아니며, 진정한 위험은 인플레이션과 세금이라고 주장해요. 데이비드 드레먼은 “투자위험을 거론할 땐 원금가치 보전과 대체투자에 따른 기회수익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며, “위험하지 않다는 이유로 예금 또는 채권투자를 한다는 건 큰 착각”이라고 밝혔어요.
역발상 투자 심화편
데이비드 드레먼은 PER이 낮을수록 좋다고 주장했는데요. 전체 시장에서 최소 하위 20%에 속하면 합격이라고 했어요. PBR 역시 하위 20%에 속해야 한다고 말했고요. 그는 PER과 PBR이 하위 20%에 속한다는 건 주가가 시장평균보다 20% 할인(저평가)됐다는 뜻으로 해석했어요.
PCR(주당현금흐름) 역시 하위 20%를 합격 기준으로 설정했어요. 그는 “낮은 수준에서 비용이 관리돼야 이익창출 능력과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어요. 한편, “배당수익률은 상위 20%에 들어야 꾸준한 수익확보가 가능해진다”고 말하며, “이는 정기소득을 원하는 투자자라면 꼭 지켜야 할 평가기준이다”고 언급했어요.
이 밖에도 몇 가지 챙겨야 할 투자지표가 있는데요. 시가총액이 큰 종목을 선호했어요. 이는 대중들이 비교적 잘 알고, 회사의 현상유지 능력이 높기 때문이예요. 또, 최근 이익 성장률이 직전 분기보다 향상된 기업이 더 매력적이라고 했어요. 이어 주당순이익 증가율이 지수와 업종 평균보다 높은 종목을 후보군에 넣으라고 조언했어요. 단, 이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주가가 불합리한 수준까지 떨어진 경우 저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어요.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7% 이상이면 대단한 수익성을 갖췄다고 판단했어요. 부채비율은 낮을 수록 좋으며, 부채가 약 20% 미만이라면 재무건전성이 훌륭한 편이라고 생각했어요.
마지막으로 주식매수 후 평균 보유기간은 2~8년으로 설정했어요. 단, 해당기업의 성적표가 2년 안에 호전되지 않으면 탈락시키는 기준을 세워 가능성이 없는 종목은 포트에서 제외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