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머스 “디어유보다 싸다” 중소 기획사 위한 컨설팅 회사

20일 SK증권은 노머스 리포트를 발간했다. 제목은 ‘해외 투어 가는 신생 엔터테크’다. 리포트를 작성한 박찬솔 SK증권 연구원은 노머스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제시하지 않았다.

노머스는 아티스트 콘텐츠 제작, MD 제작/판매, 유료 메시지 및 팬클럽 서비스 플랫폼의 IP를 확보한 업체다. 해당 IP를 활용해 아티스트들의 간접 활동을 지원한다. 또, 팬덤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을 한다.

노머스_회사소개

(자료: 노머스)

박찬솔 연구원은 “노머스는 다양한 기획사에 소속된 아티스트들과 협력하고 있다”며, “매출액 비중은 2024년 연간 기준 △공연 42.2% △MD 및 상품 37.2% △플랫폼 20.6%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익률은 공연, 플랫폼 콘텐츠가 가장 높으며, 제품, 상품, 해외 투어 순이다”며, “부문 성장률은 해외 투어가 가장 높다”고 전했다.

박 연구원은 “국내 인플루언서 커머스 업계에서는 대체로 기업보다 유명 아티스트의 바게닝 파워(Barganning Power)가 강하다”며, “기업체가 아티스트 IP를 활용해서 사업을 진행해도 마진율을 확보하기는 어려운 구조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차세대 인플루언서 커머스가 등장하고 있다”며, “노머스는 인플루언서의 성장 초기부터 함께 협력 사업을 키운다”고 전했다.

또, “최근에는 대형 아티스트들이 소속사로부터 독립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사업 모델에 변화가 있다”며, “노머스는 소속사 부재 아티스트의 IP를 활용한 사업을 소속사 대신 맡아줄 수 있는 업체다”고 설명했다.

그는 “노머스가 엔터테크 중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건 해외 투어 부문 영향이 크다”며, “올해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해외 투어 매출액이 고성장하며 전사 실적을 해외 투어와 유사한 성장률로 견인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어 “회사는 해외 현지 프로모터와 공연 성공 여부를 사전 조사해 하방을 막는 것이 사업의 핵심이다”며, “MG뿐만 아니라 백엔드 보너스도 투어당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또, “2022년도 말 해외 투어 사업을 시작했다”며, “아레나급 극장에서 레퍼런스를 쌓았다”고 설명했다.

노머스는 작년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689억원, 81억원을 벌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62.9%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박찬솔 연구원은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1000억원, 2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회사가 목표치를 달성하면 가능한 실적이라고 한다.

노머스_실적추이

또, 그는 “올해 해외로 본격적으로 나간다”며, “해외 공연 타겟은 미주 시장이다”고 전했다. 이어 “회사 내부적으로 전년대비 60% 성장이라는 매우 공격적인 목표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회사가 목표를 달성하면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5%, 147% 성장합니다. 성장 매력이 두드러진다고 해석할 수 있죠.

20일 기준 노머스의 시가총액은 약 2450억원입니다. 작년 연간 영업이익의 30배이자, 올해 예상되는 연간 영업이익의 12배 수준이죠. 올해 예상되는 영업이익 수준을 벌어들여야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DS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노머스는 현재까지 확보된 3분기까지의 해외 투어 일정만으로도 고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어요. DS투자증권은 올해 연간 영업이익이 282억원으로 247% 증가를 예상했습니다.

노머스의 사업 모델은 매력적입니다. 노머스는 중소형 기획사를 대상으로 콘서트와 MD를 기획해주는데요. 중소형 기획사 입장에서는 자원이 부족한 영역을 노머스가 대신 해결해줍니다.

또, 팬덤 플랫폼인 ‘프롬’을 운영하는데요. 아티스트는 프롬을 통해 이미지, 콘텐츠, 음성 메시지를 팬들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단, 팬덤 플랫폼은 더 큰 업체인 에스엠&JYP Ent.의 ‘디어유’와 하이브의 ‘위버스’와 경쟁해야 합니다. 노머스가 중소형 기획사 아티스트들과 협업을 하는 만큼 프롬도 대형기획사와는 차별화된 강점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형 기획사 소속 외 아티스트들과 소통하기 위해 프롬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이죠.

노머스의 경쟁자인 디어유는 20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이 1조1323억원입니다. 디어유는 2024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으로 약 282억원을 벌 것으로 예상하는데요. 시가총액은 작년 연간 영업이익의 40배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또, 디어유는 올해 연간 영업이익으로 425억원을 벌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시가총액은 올해 연간 영업이익의 26배 수준입니다. 즉, 노머스가 경쟁사 디어유에 비해 ‘상대적 저평가’ 상태인 거죠.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디어유대신 노머스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해보입니다.

노머스와 디어유 모두 올해 들어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요. 단, 디어유의 상승 포깅 더 컸습니다. 올해 들어 디어유 주가는 32% 상승했습니다. 같은 기간 노머스 주가는 10% 상승에 그쳤어요.

[차트] 노머스·디어유 주가 비교

노머스_디어유_주가비교

(자료: 인베스팅닷컴)

최근 한 달 개인과 외국인은 노머스 주식에 각각 67억원, 28억원을 투자했어요. 개인의 순매수세는 강해지는 모습을 보인 반면 외국인은 주춤하는 흐름입니다.

[그래프] 노머스 수급 현황(2025.1.17~2.20, 단위: 백만원)

노머스_수급

(자료: 키움증권)

Leave a Comment